[회복탄력성 지수] Resilience Quotient (RQ) 측정 개념!!

"회복탄력성 지수(Resilience Quotient, RQ)"는 개인이 스트레스, 역경, 위기 상황에 직면했을 때 이를 극복하고 다시 원래 상태로 회복하거나 더 성장할 수 있는 심리적 능력 을 수치화한 개념이에요. 심리학, 조직행동학, 교육학, 의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됩니다. 1. 회복탄력성(Resilience)이란? 단순히 스트레스를 견디는 힘 이 아니라, 좌절 후 다시 일어나고 새로운 도전을 받아들이는 능력 을 의미합니다. 원래는 자연과학에서 탄성(elasticity) 개념에서 비롯되었는데, 외부 충격을 받더라도 원래 상태로 돌아오는 힘을 심리학에 적용한 것이죠. 긍정심리학에서는 회복탄력성을 행복, 성공,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핵심 요소 로 보고 있습니다. 2. 회복탄력성 지수(RQ) 측정 개념 회복탄력성 지수는 보통 심리검사(설문지) 형태로 측정되며, 여러 영역을 종합해서 점수화합니다. 대표적으로 아래 3가지 큰 축이 있습니다. 2-1. 자아지향성(Self-regulation) 자기 감정을 인식하고 통제하는 능력 충동이나 부정적인 감정을 잘 다스리고 침착함을 유지하는 힘 관련 요인 : 감정조절력, 자기효능감, 인내심 2-2. 대인관계 능력(Relationship competence) 주변 사람들과의 관계를 긍정적으로 유지하는 능력 사회적 지지망을 활용하고, 갈등을 조율하는 힘 관련 요인 : 공감능력, 의사소통 능력, 친사회성 2-3. 긍정성(Optimism) 상황을 긍정적으로 해석하고, 희망을 잃지 않는 힘 실패나 위기를 성장의 기회 로 전환할 수 있는 태도 관련 요인 : 낙관주의, 감사, 유머, 목표의식 3. 회복탄력성 지수의 해석 높은 RQ : 위기 상황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하고 빨리 회복하며, 장기적으로 더 강해짐 낮은 RQ : 스트레스에 쉽게 압도되고, 좌절에서 회복하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림 예를 들어, 같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