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생성형 AI서비스 한번에 정리하기!!
AWS(아마존 웹 서비스)는 생성형 AI(Generative AI) 기술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와 도구를 제공합니다. 특히, Amazon Bedrock과 SageMaker, Trainium/Inferentia 인프라, 그리고 협력 모델 파트너들을 통해 기업이 생성형 AI를 쉽게 구축하고 확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습니다.
아래에서는 AWS의 주요 생성형 AI 서비스와 구성 요소를 세부적으로 설명하겠습니다.
1. Amazon Bedrock: 서버리스 생성형 AI 서비스
1.1. Bedrock 개요
Amazon Bedrock은 AWS가 제공하는 생성형 AI 서비스의 핵심입니다.
Bedrock은 여러 유명한 기성(pre-trained) 생성형 AI 모델을 API 형태로 서버리스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는 플랫폼입니다.
1.2. 주요 특징
-
모델 호스팅 불필요: 서버 설정 없이 API로 사용 가능
-
유명 파트너 모델 제공:
-
Anthropic Claude 3
-
Meta Llama 3
-
Mistral 7B
-
AI21 Labs Jurassic
-
Amazon Titan (AWS 자체 모델)
-
Stability AI Stable Diffusion (이미지 생성)
-
1.3. 주요 기능
-
텍스트 생성 (예: Claude, Jurassic, Titan Text)
-
이미지 생성 (예: Stability AI)
-
코드 생성
-
임베딩 제공
-
Agent 기능: API 호출·데이터 추출·워크플로우 자동화 지원
1.4. 사용 사례
-
고객 응대 챗봇
-
마케팅 콘텐츠 자동 생성
-
문서 요약 및 분석
-
코드 자동 완성
-
법률, 의료 등 전문 문서 질의응답
2. Amazon SageMaker: 생성형 AI 모델 훈련 및 배포 플랫폼
2.1. SageMaker 개요
SageMaker는 AWS의 머신러닝 플랫폼으로, 생성형 AI 모델의 학습, 튜닝, 배포를 지원합니다.
2.2. 주요 기능
-
SageMaker JumpStart: 사전 훈련된 생성형 AI 모델 즉시 사용 가능
-
SageMaker Studio: Jupyter 기반 통합 개발 환경
-
RLHF 지원: 인공지능에 인간 피드백을 학습시키는 RLHF 기능 지원
-
모델 병렬화 & 분산 훈련: 대규모 언어모델 학습에 최적화
2.3. 사용 예
-
LLM 파인튜닝
-
의료/법률 문서용 커스텀 생성형 AI 개발
-
엔터프라이즈 내 보안 데이터 기반 챗봇
3. Amazon Titan: AWS 자체 생성형 AI 모델
3.1. Titan 시리즈 모델 종류
-
Titan Text: 문서 생성, 요약, 분류 등에 최적화
-
Titan Embeddings: 검색, 추천 알고리즘에 필요한 임베딩 생성
-
Titan Image Generator (추가 예정): 텍스트 기반 이미지 생성
Titan은 AWS에서 책임감 있는 AI 기준을 충족시키도록 설계되었으며, 콘텐츠 필터링, 사전검열, 출처 식별(metadata labeling) 기능이 내장되어 있습니다.
4. AWS Inferentia & Trainium: 생성형 AI 인프라
4.1. Inferentia / Trainium 개요
-
AWS Inferentia: 추론(실행) 전용 칩, LLM 처리에 최적화
-
AWS Trainium: 훈련 전용 칩, 대규모 모델 학습 비용 절감
4.2. 장점
-
NVIDIA 대비 최대 40% 비용 절감
-
대규모 모델을 고속, 저전력으로 실행
-
SageMaker와 통합 가능
5. Amazon Q: 생성형 AI 기반 엔터프라이즈 어시스턴트
5.1. Amazon Q 개요
Amazon Q는 AWS가 새롭게 선보인 업무용 AI 비서입니다.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
-
AWS 사용자를 위한 개발자 도우미 (코드 분석, 배포 가이드 등 제공)
-
기업 내 사내 문서 기반의 질문 응답 기능 제공
-
MS Teams, Slack과 통합 가능
5.2. 적용 예
-
사내 IT 헬프데스크 자동화
-
내부 정책 문서 질의응답
-
기술 가이드 문서 분석
6. 생성형 AI 통합 도구 및 기타 기능
6.1. LangChain + Bedrock
-
LangChain 프레임워크를 통해 Bedrock과 연결
-
외부 DB 연동, RAG 기반 검색 기능 구현 가능
6.2. RAG(검색 기반 생성)
-
벡터DB (Amazon OpenSearch Service 등)와 연동하여 실시간 정보 기반 응답 생성
6.3. 콘텐츠 보안 및 관리
-
AI output watermarking, toxicity filter, PII 검출
-
생성 콘텐츠 추적 및 관리 용이
7. 요약 및 선택 가이드
목적 | 추천 AWS 서비스 | 설명 |
---|---|---|
API 형태로 생성형 AI 모델 사용 | Amazon Bedrock | 서버리스, Claude/Llama/Titan 등 제공 |
LLM 직접 학습·튜닝 | Amazon SageMaker | 개발자용, 파인튜닝 및 배포 |
사내 업무용 챗봇 | Amazon Q | 업무 문서 기반 질의응답 |
비용 효율적 LLM 실행 | Inferentia / Trainium | ML 인프라 최적화 |
AWS 자체 생성 모델 활용 | Amazon Titan | Amazon이 직접 개발한 생성형 모델 |
8. 결론
AWS는 생성형 AI 시장에서 강력한 인프라와 API 접근성을 동시에 갖춘 플랫폼을 제공합니다. 특히 기업 입장에서 보면 다음과 같은 강점이 있습니다:
-
모델 다양성 + 커스터마이징 가능
-
보안과 컴플라이언스 강화
-
기존 AWS 인프라와 자연스러운 통합
기업이 빠르게 생성형 AI를 도입하고자 한다면, Amazon Bedrock을 통해 시작하고, 이후 필요에 따라 SageMaker를 통한 파인튜닝, 또는 Amazon Q와 같은 자동화 툴을 활용하는 방식이 효율적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