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ube-ops-view] 쿠버네티스(Kubernetes) 클러스터 운영 및 모니터링 오픈소스 툴!!
1️⃣ kube-ops-view란?
**kube-ops-view**는 Kubernetes 클러스터의 상태를 한눈에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대시보드 도구입니다.
독일 Zalando(잘란도)에서 개발한 오픈소스로, 복잡한 클러스터 구조(노드, 파드, 네임스페이스 등)를
실시간으로 시각화하여 운영자가 전체적인 상태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줍니다.
📘 공식 깃허브:
👉 https://github.com/hjacobs/kube-ops-view
2️⃣ 주요 특징
| 기능 | 설명 |
|---|---|
| 🧭 클러스터 전체 시각화 | 노드(Node), 파드(Pod), 네임스페이스(NS) 구조를 하나의 그래픽 뷰로 표시 |
| ⚙️ 리소스 상태 모니터링 | 각 파드의 상태(Running, Pending, CrashLoopBackOff 등)를 색상으로 구분 |
| 🔁 실시간 업데이트 | 클러스터의 변경 사항(스케일링, 파드 재시작 등)을 실시간 반영 |
| 🔒 읽기 전용(Read-Only) | 클러스터 리소스를 수정하지 않기 때문에 운영 환경에서도 안전 |
| ☁️ 멀티 클러스터 지원 | 여러 클러스터를 동시에 연결해 시각화 가능 |
| 📊 간단한 배포 | Helm chart, kubectl apply, Docker 컨테이너로 손쉽게 배포 가능 |
3️⃣ kube-ops-view의 아키텍처 구조
kube-ops-view는 단일 웹 애플리케이션처럼 보이지만 내부적으로 두 가지 주요 구성요소로 나뉩니다.
① 백엔드 (Aggregator)
-
클러스터의 노드, 파드, 네임스페이스 정보를 수집하는 역할
-
Kubernetes API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와 WebSocket 또는 REST API 형태로 프론트엔드에 전달
-
Deployment혹은Pod형태로 클러스터 내부에 배포
② 프론트엔드 (Web UI)
-
브라우저에서 각 노드/파드의 상태를 시각적으로 표시
-
상태별 색상 구분:
-
🟢 Running
-
🟡 Pending
-
4️⃣ kube-ops-view 동작 방식
-
kube-ops-view Pod가 클러스터 내에 배포됨
-
Pod 내부의 백엔드가 Kubernetes API 서버에 접근하여 모든 노드/파드 메타데이터 수집
-
수집된 데이터가 JSON 형태로 웹소켓을 통해 프론트엔드에 전송
-
브라우저에서 시각화 (노드별로 파드 블록이 표시됨)
-
실시간 업데이트 → 파드 생성/삭제/이동 시 자동 반영
5️⃣ 설치 방법 예시
가장 간단한 설치는 kubectl로 바로 배포하는 방식입니다.
또는 Helm으로 설치:
배포 후 서비스 확인:
그 다음 브라우저에서 접속:
👉 http://localhost:8080
6️⃣ 주요 화면 구성
| 구성요소 | 설명 |
|---|---|
| 노드(Node) | 클러스터의 물리적/가상 서버를 의미. 큰 사각형으로 표시 |
| 파드(Pod) | 노드 안에 작은 블록 형태로 표시. 색으로 상태 구분 |
| 네임스페이스 구분 | 파드 테두리나 색상으로 namespace별로 시각 구분 |
| 상태 표시 | 마우스를 올리면 파드 이름, 네임스페이스, 상태 정보 표시 |
| 줌/이동 | 마우스 휠이나 드래그로 확대·축소 및 이동 가능 |
7️⃣ 장점
-
🧩 설치가 간단함 – 하나의 YAML 배포만으로 실행 가능
-
👁️🗨️ 시각적 인사이트 제공 – 노드당 파드 밀집도 및 상태를 직관적으로 확인
-
⚡ 실시간 반응성 – 파드 상태 변화가 즉시 반영됨
-
🧱 읽기 전용 – 운영환경에서도 위험 없이 모니터링 가능
-
🌐 웹 브라우저 기반 – 별도 클라이언트 설치 불필요
8️⃣ 단점 및 한계점
| 단점 | 설명 |
|---|---|
| ⚠️ 리소스 수정 불가 | 시각화 전용 도구이므로 조치(예: 재시작, 스케일링)는 불가능 |
| 🧮 메트릭 부족 | CPU, 메모리 등 자원 사용량은 기본적으로 표시하지 않음 |
| 🔐 RBAC 설정 필요 | API 접근 권한 설정이 잘못되면 데이터 조회 불가 |
| 📉 대규모 클러스터에서 부하 가능성 | 노드 수가 많을 경우 데이터 업데이트 지연 발생 가능 |
⚡️ 따라서 kube-ops-view는 Prometheus나 Grafana처럼 상세 모니터링보다는
“클러스터 전체 상태를 빠르게 파악”하는 개요용 시각화 도구로 쓰입니다.
9️⃣ 대체/보완 가능한 도구
| 도구 | 주요 기능 | 보완 포인트 |
|---|---|---|
| Lens | GUI 기반 K8s 관리 도구 | kube-ops-view보다 세밀한 조작 가능 |
| K9s | 터미널 기반 모니터링 | CLI에서 실시간 관리 가능 |
| Octant | VMware에서 만든 GUI 대시보드 | Pod 상세 로그/이벤트 확인 가능 |
| Kubernetes Dashboard | 공식 웹 UI | 기본 관리 및 상태 확인 가능 |
🔟 실제 운영 예시 시나리오
-
운영팀이 서비스 이상을 감지한 경우
→ kube-ops-view 대시보드 열기
→ 노드 하나에 “빨간색(에러 파드)”이 집중되어 있는지 확인
→ 원인 노드 식별 후kubectl describe node등으로 세부 분석 -
자동 스케일링 확인 시
→ HPA가 동작할 때 파드가 늘어나는 모습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
✅ 요약
| 항목 | 내용 |
|---|---|
| 이름 | kube-ops-view |
| 개발사 | Zalando |
| 주요기능 | K8s 클러스터 시각화, 실시간 상태 표시 |
| 장점 | 가볍고 빠름, 시각적 파악 용이 |
| 단점 | 세부 모니터링 및 조작 기능 부족 |
| 적합한 용도 | 운영팀의 클러스터 상태 개요 확인 |
💡 결론
kube-ops-view는 **"Kubernetes 클러스터의 전체 상태를 직관적으로 보는 데 최적화된 시각화 도구"**입니다.
Grafana나 Prometheus처럼 정량적인 메트릭 분석보다는,
운영자가 **“현재 클러스터가 잘 돌아가고 있는가?”**를
한눈에 빠르게 파악하기 위한 운영용 대시보드로 활용하면 매우 효과적입니다.
댓글
댓글 쓰기